유튜브 <How I use LLMs, Andrej Karpathy>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 딥 리서치 (Deep Research)
✅ 개념
- 인터넷 검색 + 사고 능력(Thinking)을 결합
- GPT-4 Pro, Perplexity, Grok 등 일부 고급 요금제에서 제공
- 모델이 수십 분간 인터넷을 탐색하고, 생각하고, 요약 리포트를 작성
🛠 작동 방식
- 사용자가 깊은 질문 입력 (예: "Ca-AKG의 효능과 메커니즘 알려줘")
[Deep research] 버튼을 눌러서 활성화 가능 - 모델이 관련 키워드로 다양한 검색 수행
- 논문, 기사, 위키 등을 기반으로 이해하고 요약
- 긴 보고서 형태로 결과 제공, 보통 5~10분 소요
- 출처(논문, 웹문서 등) 함께 제공
💡 활용 예시
- 건강 성분 분석: "Ca-AKG는 왜 longevity mix에 들어가 있나요?"
- 제품 비교 분석: "Brave와 Arc 중 어떤 브라우저가 더 개인정보 보호에 유리한가요?"
- 최신 기술 트렌드: "미국 내 주요 LLM 연구소 정리해줘 (이름, 자금, 규모 포함)"
- 생명과학 논문 요약: "DNA 기반 LLM 연구 요약해줘"
⚠️ 주의사항
- 내용이 완벽히 정확하진 않음 → 항상 직접 출처 확인 필요
- 일부 정보 누락, 해석 오류, 숫자 오류 가능
- "첫 초안" 또는 "자료 조사 출발점"으로 생각하는 게 안전
🧠 딥 리서치 모델별 체감 비교
1. ChatGPT (GPT-4 Pro with Deep Research)
💬 “가장 완성도 높고, 읽기 좋고, 논리적이다”
- 장점:
- 조사 범위가 넓고, 출처가 풍부하게 포함됨
- 보고서 형식이 깔끔하고 논리적
- 논문/실험 결과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
- 사용자 총평:
- “내가 지금까지 써본 딥 리서치 중 가장 만족스러웠다.
문장 구성도 부드럽고, 설명도 가장 잘 되어 있다.”
2. Perplexity (Deep Research 기능 포함)
💬 “빠르지만 다소 얕다”
- 장점:
- 속도가 빠르고 간단한 검색에는 적합
- 복수 출처 포함
- 단점:
- 내용이 비교적 짧고, 깊이는 부족
- 구조화가 덜 되어 있음
- 사용자 총평:
- “빠르게 개요 잡을 땐 좋지만, GPT-4 Pro만큼 깊이 있게 다뤄주진 않는다.”
3. Grok (Deep Search로 명명됨)
💬 “인터페이스는 좋지만 내용은 아쉬움도”
- 장점:
- 인터페이스가 보기 편하고 직관적
- 조사 과정 로그를 보여줌
- 단점:
- 일부 내용이 너무 단순하거나 부족
- GPT-4만큼의 정교함은 없음
- 사용자 총평:
- “UI는 제일 좋아. 하지만 정보 밀도는 GPT보단 낮은 느낌.”
'개발 이야기 > [스터디] LLM' 카테고리의 다른 글
LLM 사용하는 방법 - 6 Python Interpreter (0) | 2025.04.25 |
---|---|
LLM 사용하는 방법 - 5 파일/문서 업로드 (0) | 2025.04.25 |
LLM 사용하는 방법 - 3 인터넷 검색 (0) | 2025.04.25 |
LLM 사용하는 방법 - 2 다양한 LLM의 종류와 활용법 (3) | 2025.04.25 |
LLM 사용하는 방법 - 1 ChatGPT는 어떤 존재인가 (0)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