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트레이딩
[기술적 분석 모르고 절대 주식투자 하지 마라] 제 1장: 예측 도구인가 아니면 전통을 빙자한 낡은 골동품인가
경이로운아일라
2025. 7. 2. 10:14
✅ 기본적 분석 vs 기술적 분석
주식이나 자산을 분석할 때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인 기본 분석과 기술적 분석(차트 분석)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기본적 분석 | 기술적 분석 | |
📌 분석 대상 | 기업의 내재 가치(재무제표, 산업 동향, 경쟁력 등) | 가격 움직임과 거래량 등시장 데이터 자체 |
🛠 방법 | 재무제표 분석, PER/PBR, 성장성 평가, 거시경제 분석 | 캔들 차트, 이동평균선, RSI, MACD, 추세선 등 |
⏰ 투자 성향 | 중장기 투자자에 적합 | 단기 매매, 트레이더에 적합 |
🎯 초점 | "얼마가 적정한가?" | "언제 사야 하는가?" |
🤔 전제 | 시장은 비효율적이며, 저평가/고평가 자산이 존재함 | 시장은 모든 정보를 가격에 반영함 |
📉 기본적 분석의 단점
- 시점 판단이 어렵다
→ 기업의 내재 가치는 평가할 수 있어도 언제 주가가 오를지는 알기 어려움.
예: 좋은 기업이지만 수년간 주가가 횡보할 수 있음. - 시장 심리를 반영하지 못함
→ 투자자들의 공포, 기대심리, 수급 같은 단기 변동성은 분석에 포함되지 않음. - 해석의 주관성
→ 같은 재무제표를 보고도 투자자마다 다른 결론을 낼 수 있음.
(예: "부채가 많다 → 위험" vs "레버리지로 성장 가능") - 정보의 시차
→ 재무제표 등 공시 자료는 보통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므로, 시장의 현재 상황을 반영하는 데는 느림. - 많은 시간과 전문성 필요
→ 재무제표 분석, 산업 구조 파악, 경쟁사 비교 등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듬. - 과대평가 가능성
→ 분석 과정에서 비현실적인 가정(성장률, 마진 등)을 넣으면 과대평가할 위험도 존재.
📉 차트 분석의 단점 (기술적 분석의 한계)
- 과거 데이터 기반
→ 미래를 보장하지 않음. 과거 패턴이 반복된다는 보장은 없음. - 거짓 신호(Fake Signal)
→ 지표나 패턴이 잘못된 매수/매도 타이밍을 줄 수 있음. - 시장 외부 요인 반영 부족
→ 뉴스, 정책 변화, 실적 발표 등 갑작스러운 이벤트에 취약함. - 과신하기 쉬움
→ 신호나 패턴에 지나치게 의존하면 손실로 이어질 수 있음. - 주관성
→ 같은 차트를 보고도 분석자마다 해석이 다를 수 있음.
📈 차트 분석의 장점
- 과거의 가격 추이 확인 가능
- 시장의 변동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
- 투자 시점을 결정하는 도구로 활용 가능
- 자금 관리 도구로 사용 가능(손절/청산 시점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반복적인 패턴을 보이는 특정한 시장 동향을 반영
- 기술적 매매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차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
차트 분석만이 정답이라고 할 순 없지만,
주식 투자를 한다면 차트 분석을 할 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