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아파트 투자는 사이클이다, 이현철 저>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언제 아파트를 사야 하는가, 지금은 아파트를 사기에 적절한 시기인가에 대해 고민해 보기 위해 이 책을 읽어보았다.
아파트 투자는 사이클이다
1장 당신은 지금껏 세상의 편견에 속고 있었다
부동산 시장도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 부동산 시장은 항상 우상향한다는 편견에 속지 말고, 상승장에서는 하락에 대비하며, 하락장에서는 기회를 포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2장 부동산 전문가들은 왜 틀린 예측을 할까?
이번 장에서 흥미롭게 읽었던 부분 모음
1. 전세가율이 높으면 안 좋은 집일 가능성이 높다.
전세가율이 높다는 건, 전세가랑 매매가랑 큰 차이가 없다고도 볼 수 있다. 그 돈을 내고 전세를 살(Live) 수는 있어도 사고(Buy) 싶지는 않다는 의미이기도 하기 때문에 안 좋은 집일 가능성이 높다.
2. 상승 끝물 하락 초입, 하락 끝물 상승 초입 특징.
"상승 끝물 하락 초입"에서는 집값이 전세가 가까이 떨어지고, 그 돈으로 전세를 들어오는 사람이 없으니 집주인이 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하게 되어 "전세사기", "빌라왕" 과 같은 사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락 끝물 상승 초입"에서는 반대로 전세가가 집값을 밀어올리기 시작할 것입니다.
3. 소형과 대형의 사이클
이전에는 대형아파트가 주를 이뤘다. 노부부가 되어서라도 자식이 놀러올 때 내어줄 수 있는 방 한칸 더 있는 게 중요하다는 인식이 강한 실절이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요즘은 대형 아파트는 부담스럽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며 멸시받던 소형평형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대형평형은 관리하기도 비싸고, 집값도 더 비싸서, 차라리 소형이 낫다나. 그리고 언젠가 유행이 돌면, 대형이 인기를 모는 시대가 다시 도래할 수도 있다고 한다.
4. 거래량과 호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줄어들었다는 것은 강한 신호이다.
- 거래량이 줄었지만 호가는 올라가고 있다면, 상승 시그널
- 거래량이 줄고 호가도 내려가고 있다면, 하락 시그널
5. 분양 결과
분양 결과도 부동산 시장을 나타내는 강한 신호이다.
- 공급 물량 부족, 미분양 해소, 전세가 상승은 상승 시그널
- 미계약, 미분양, 입주후 미분양은 하락 시그널
3장 다가오는 사이클에서 기회를 잡는 법
겁나서 죽을 것 같을 때 사라. 좋아서 죽을 것 같을 때 팔라.
지금이 아파트 사이클에서 어느 부분인지 생각해보자. 그리고 상승을 준비하기에 적절한 시기라면 올라타자. 그리고 폭등 및 하락의 시그널이 올 때 내리자.
이때 생각해 볼 요소: 심리, 전세가, 분양결과, 정부 정책(세금, 대출규제), 금리, 인구, 경기, 호재 등등
'[도서]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주 달러 받는 배당주 통장 : 미국 배당주 알짜 기업 213을 알면 수익 나는 전략이 보인다 (2) | 2024.06.16 |
---|